디스코드 PC 글자색을 바꿔 채팅을 꾸며봅시다! 디스코드에서는 코드블록이라는 방법을 이용하여 편법으로 글자에 색을 넣을 수 있습니다. 디스코드에서 색깔을 글자에 넣는 방법과 넣을 수 있는 색에 대해서 목차에 표로 정리해뒀습니다. 한 눈에 한글도 쓸 수 있는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어요. (표 아래 설명을 참고해주세요) 표에서 가장 왼쪽의 언어명을 클릭하면 상세한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디스코드 색깔 꾸미기라고 치면 나오는 글들이 내용이 오래되고 틀린 부분들이 많아 업데이트하였습니다. 참고로 기울인 글씨는 사족이라서 읽지 않으셔도 됩니다.
디스코드에서 글자에 색을 칠하려면 위와 같은 양식으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첫 줄에는억음부호 3개(```)와프로그래밍 언어명을 입력합니다. (언어명은 아래에 나올 표에서 가장 왼쪽의 영단어들입니다. 아래의 제목들도 언어명입니다.) 다음 줄부터는 내용을 입력합니다. 내용을 입력할 때 앞뒤에 특정 기호를 붙일 때도 있습니다. 마지막 줄에는억음부호 3개(```)를 다시 붙여줍니다.
억음부호는 키보드에서 1옆에 맨 왼쪽에 있습니다.
```asciidoc 📢 서버 공지 사항 📢 ==================== * 도배하지 않기! * 질문은 `친절히' 답해주기 // 뒬탕의 디스코드 블로그 ```
예를 한번 들어볼까요. 위 내용을 복사해서 디스코드에 붙여넣어주시면 다음과 같이 색이 바뀌어 보이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색이 바뀌는 이유는 우선 첫번째로 프로그래밍 언어명에 asciidoc을 썼고,
두 번째로는 asciidoc에 맞는 기호들을 글 중간중간에 넣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규칙에 따라 다음과 같이 색이 바뀐 것이지요. 이렇게 특정 언어명에 특정 기호를 규칙에 따라 넣으면 특정 색으로 바뀌는 식입니다. 이런 식으로 디스코드 코드블록은 서버 공지 사항이나 규칙을 표시할 때 이용되기도 합니다.
디스코드에서색깔을 글자에 넣는 방법과넣을 수 있는 색에 대해서 아래 목차에 표로 정리해뒀습니다.한 눈에 한글도 쓸 수 있는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어요. (표 아래 설명을 참고해주세요)자세히 보시려면표에서 가장 왼쪽의 언어명을 클릭해서 해당 항목으로 이동해주시면 됩니다! 혹시 잘 모르겠는 내용이 있으면 제 블로그 디스코드 서버인 Feed&Back로 와서 물어봐주세요. 직접 글자 꾸미기를 연습해보실 수도 있답니다.
이렇게 입력해서 만들어진 것을 코드 블록이라 부릅니다. 코드 블록은 코드를 좀 더 보기 쉽게 표현하기 위해 씁니다. 색은 이 코드에서 중요한 단어나 구문들을 강조하기 위해서 칠해지는 것입니다. 중요한 단어는 코드마다 다르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언어명을 바꾸면 색이 바뀌는 것입니다. 색이 바뀌는 규칙은highlight.js10.0.0버전의 Solarized dark나 Solarized light를 따릅니다.
배경배경 (#2f3136, #f2f3f5) : 코드블록의 배경색입니다. 디스코드의 테마에 따라 바뀝니다.
기본기본 (Default, #b9bbbe, #4f5660) : 기본 글자색입니다. 디스코드 테마가 어두울 때는 흰색, 밝을 때는 검은색과 비슷한 색이 됩니다.
빨강 (Solarized Red, #dc322f)
주황 (Solarized Orange, #cb4b16)
노랑 (Solarized Yellow, #b58900)
초록 (Solarized Green, #859900)
파랑 (Solarized Blue, #268bd2)
청록 (Solarized Cyan, #2aa198) : 문자열이나 숫자를 나타낼 때 쓰는 색입니다. 따라서 거의 모든 언어명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보통 여려 줄의 색을 한번에 바꿀 수 있습니다. 사람에 따라서 민트색으로 보기도 합니다.
회색회색 (Quote, #4f545c, #c7ccd1) : 주석을 나타낼 때 쓰이는 색입니다. 청록과 마찬가지로 거의 모든 언어명에서 사용됩니다. 역시 여러 줄 색 바꾸기가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디스코드의 테마에 따라 색이 바뀝니다. 어느 테마든지 흐리게 보인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디스코드에서 글자색을 표현하는 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괄호는 해당 문구처럼 입력해도 작동한다는 뜻입니다.
(+추가)
ansi가 생겨남에 따라 디스코드에서 표현 가능한 색이 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_기울이게_ 또는 *기울이게* : 글씨가 기울어집니다. 마찬가지로 디코에서 기울이는 법과 같습니다.
_**둘다**_ : 위 두 효과는 겹칠 수 있습니다.
# **색칠하면서** : 위의 효과가 적용된 글씨들은 파란색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꺽쇠괄호(<>) 이외의 모든 방법으로 시도 가능합니다.
사족) md는 마크다운(markdown)의 약자입니다. 마크다운은 일반 텍스트 기반의 마크업 언어입니다. 디스코드에서도 이를 이용하여 쉽게 글씨들을 굵게 만들거나 기울일 수 있죠. 사실 디스코드 꾸미기 항목의 대부분의 것들이 (이 글의 내용 포함) 마크다운 문법을 이용한 것입니다. (그니까 마크다운셉션입니다!) 디스코드에서 마크다운을 쓰는 법에 대해서는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파랑노랑> : 앞 단어는 파랑색으로 나오며 뒷 단어부터는 노랑색으로 나옵니다. 영어만 가능합니다. 예시는 앞의 파랑 자리에 언더바(_)를 넣은 것입니다.
파랑
<파랑> </파랑> : 꺾쇠괄호(<>)로 내용을 감싸주면 단어가 파랑색으로 변합니다. 영단어만 가능합니다.
청록
<파랑 =청록> : 등호 뒷부분의 내용은 청록색이 됩니다. 예시는 앞의 파랑을 언더바(_)로 넣은 것입니다.
회색
<!--회색--> : 사이에 글자를 넣으면 회색이 됩니다. 여러 줄도 가능합니다.
특이사항
추가로 모바일에서도 글자색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해서 봐주세요.
사족) html은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의 약자로 웹페이지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를 적어주는 언어입니다. xml은 처음에 웹에서 구조화된 문서를 전송하기 위해 쓰였습니다. 지금은 json처럼 웹뿐만이 아니라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폭넓게 쓰인다 합니다. html, xml 둘을 합친 것이 xhtml입니다. 하지만 xhtml은 html5가 나와 쓰이진 않습니다.
{노랑: : 앞에는 왼쪽 괄호({) 뒤에는 콜론(:)을 두면 사이에 있는 영단어가 노랑색이 됩니다.
파랑
정확히 다음과 같은 형식이면 영단어를 파랑색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영단어는 예시처럼 반복해서 적혀야됩니다. 범용성이 낮습니다.
청록
`` '' "": 백틱(`) 따옴표(') 쌍따옴표(")로 글자를 감싸면 청록색이 됩니다.
숫자는 기본으로 청록색입니다.
회색
//: 위 예시에는 없지만 앞에 슬래시 2개(//)를 붙이면 한 줄이 회색이 됩니다.
/* 회색 */: 왼쪽처럼 내용을 감싸면 회색이 됩니다. 여러 줄을 감싸 바꿀 수도 있습니다.
특이사항
모바일에서도 글자색을 쓸 수 있습니다. 노랑, 청록과 회색은 표현 방법이 같습니다. 상세내용은여기를 봐주세요.
사족) js는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의 약자입니다. 자바스크립트는 웹 페이지에서 여러 동작을 추가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사이트의 화려한 동작은 자바스크립트로 만들어졌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discord.js라는 node.js 모듈을 이용하면 디코 봇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 특정 언어명에 대해서만 공유하고 싶다면 위의 규칙대로 샵 뒤에 공유하고 싶은 언어명을 붙여주세요. 예를 들어 asciidoc에 대해 공유하고프면 https://discordbot.tistory.com/88#asciidoc 이라고 된 링크를 상대방에게 주시면 됩니다. (추가로 how-to, color-menu, color-list를 입력하셔도 됩니다.)
또 언제든지 궁금한 내용이 있으면 댓글을 달아주시거나 화면 왼쪽 아래의 디스코드 아이콘을 누르면 실시간으로 답해드립니다! (아이콘이 보이지 않는다면 에드블록을 꺼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