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메시지는 디스코드를 킨 환경에 따라 모습이 다르게 보입니다. 컴퓨터에서 보게 되면 위쪽의 '🖥️pc에서 접속중이십니다.'가 청록색으로 색칠되고,
휴대폰에서 보면 아래의 "📱모바일에서 접속중이십니다."가 색칠됩니다. 마치 메시지가 어디로 접속했는지 아는 것처럼 보이는데요. 이런 메시지를 입력하는 방법과 메시지의 작동 원리를 알아봅시다!
PC와 모바일이 다른 메시지 입력하는 방법
```sql You are connected from ( 'PC' / "mobile" ) ```
```sql 🚦디스코드 신호등 : 접속한 기기에 따라 색칠된 문구가 바뀝니다. ┌───────┬──────────┐ │'pc' │"mobile" │ └───────┴──────────┘ ```
```sql 🚦디스코드 신호등 : 접속한 기기에 따라 색칠된 문구가 바뀝니다. '🖥️pc에서 접속중이십니다.' "📱모바일에서 접속중이십니다." ```
위 상자의 메시지 중 하나를 복사해서 디스코드에 붙여 넣어주세요.
그러면 컴퓨터에서는 다음과 같이 보이고,
휴대폰에서는 다음과 같이 보입니다!
원리가 무엇일까요?
원리는 코드블럭에서 접속환경에 따라 다른 색을 칠해주는 언어명을 이용한 것입니다. 억음부호 3개(```) 뒤에 언어명 sql를 입력하면 뒷 글씨에서 따옴표, 쌍따옴표 안의 내용들이 환경에 따라 바뀝니다. PC에서는 따옴표(') 안의 내용이 청록색이 되고, 쌍따옴표(") 안의 내용은 색이 칠해지지 않습니다. 모바일에서는 반대로 쌍따옴표(") 안의 내용이 청록색이 되고, 따옴표(') 안의 내용은 기본 색으로 보입니다.
이 외에도 언어명을 py, xml로 설정하면 PC와 모바일에서 색이 다른 메시지를 여러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에서 글씨에 색을 입히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면 아래 글을 봐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