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베드(Embed)란 SNS 등 인터넷에서 다른 사이트의 내용을 그대로 가져와서 보여주는 것을 뜻합니다. 디스코드에서 링크를 올리면 아래에 해당 링크의 내용을 미리 보여주는 것이 대표적인 임베드입니다.
디스코드에서는 위 사진들처럼 다양한 형태의 임베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링크를 올리면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요, 사운드 클라우드나 스포티파이의 링크를 올리면 재생 목록을 보고 노래를 재생시킬 수 있죠.
디스코드에서는 특이하게 위처럼 사용자가 봇이나 웹 훅을 이용하여 임베드 메시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주로 사용자들이 서버 안내 메시지를 꾸미는 용도로 사용하죠. 커스텀해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봇에서 임베드 메시지로 꾸미는 기능도 같이 제공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해당 봇들을 잘 사용하려면 임베드 메시지에 대해 알아두는 게 좋겠죠!
디스코드에서 임베드 메시지의 구성
보통 임베드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나하나 살펴봐 봅시다!
저자 (Author)
가장 맨 윗부분에 작은 글씨로 표시됩니다. 보통 해당 글의 저자를 표시할 때 쓰입니다.
내용(Text) : 어떤 내용이 들어갈지 적습니다. 256자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주소(URL) : 클릭하면 이동할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합니다.
아바타(Avatar) : 이미지 주소를 입력하면 옆에 동그랗게 사진이 뜹니다. 원래 목적은 저자의 아바타(프사)를 표시하는 용도입니다.
제목 (Title)
저자 아래에 표시되며 임베드 메시지에서 가장 크게 표시됩니다.
내용(Text) : 어떤 내용이 들어갈지 적습니다. 256자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메시지포메팅 방식으로 서버 이모티콘을 사용 가능합니다. 하지만 멘션과 같은 다른 메시지 포메팅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주소(URL) : 클릭하면 이동할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합니다. 저자에서는 URL을 입력해도 색이 변하지 않았지만, 제목에는 URL을 입력하면 색이 변합니다.
설명 (Description)
임베드의 내용을 적는 칸입니다. 가장 많은 텍스트(4096자)를 담을 수 있습니다.
설명에는 마크다운과 메시지 포메팅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마크다운은 간단히 설명하면 글씨를 굵게 하거나 색을 넣는 등 꾸며줄 수 있는 방식입니다. 메시지 포메팅은 서버 이모티콘을 보내거나 맨션을 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추가로 설명에는 일반 메시지에는 쓸 수 없는 새로운 마크다운을 사용해 링크를 넣어줄 수 있습니다. [텍스트](링크) 방식으로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색 (Color) / 썸네일(Thumbnail) / 이미지(Image)
색(Color) : 임베드 메시지 왼쪽의 세로줄의 색을 뜻합니다. 보통 색상 코드로 입력합니다.
썸네일(Thumbnail) : 임베드 메시지에서 오른쪽 위의 이미지를 뜻합니다. 이미지 url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이미지(lmage) : 임베드 아래의 큰 이미지를 뜻합니다. 마찬가지로 이미지 url을 넣어줍시다. 보통은 이미지를 1개만 입력 가능하지만, 편법을 이용하면 4개까지 입력도 가능합니다.
항목 (Field)
항목은 설명 아래 표시되는 내용입니다. 항목 이름(Field Name)과 항목 값(Field Value)이 쌍을 이루고 있습니다. 항목은 여러 개 추가가 가능합니다. 항목은 설명과 마찬가지로 마크다운, 메시지 포메팅, 링크 마크다운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항목 이름은 256자, 항목 값은 1024자를 입력 가능합니다. 항목 갯수는 25개까지 추가 가능합니다.
항목 표시 방식에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가 존재합니다.
인라인(Inline) 미적용 시에는 다음처럼 한 줄에 한 가지 항목만 표시됩니다.
인라인(Inline) 적용 시에는 한 줄에 세 가지 항목까지 모아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꼬리말 (Footer)
임베드 메시지의 맨 아래에 표시되는 문구입니다. 시간과 같이 표시되기도 합니다.
내용 (Text) : 꼬리말의 내용입니다. 2048자를 입력 가능합니다.
아이콘 (Icon) : 꼬리말 왼쪽에 작게 표시되는 이미지입니다. 이미지 주소를 입력하면 등록 가능합니다.
댓글